반응형





실제 이렇게 되어 있진 않습니다

이렇게 되도록 계획을 짤뿐이죠

2016년도에는 일단 이렇게 현금 흐름을 행할 계획입니다.


파란색 화살표는 소비성

초록색 화살표는 저축성

빨간색 화살표는 계좌 리턴입니다.


- 설명 -

급여는 정확하지 않아서 평균 300 으로 잡습니다

300만


급여 통장은 회사에서 지정하기 때문에 바꿀수 없는 형편이라 급여 통장부터 시작

10만원을 급여통장의 계좌이체 수수료를 0원으로 만들기 위해서 등록해 줍니다.


300만

-10만

-----

290만



수시입출금중 가장 이율이 높은 ok 저축은행의 직장인 통장 ( 2% ) 으로 메인으로 삼았습니다.


먼저 적금시리즈를 한바퀴 돕니다.


ok 끼리끼리 적금 4% 100만

ok 직장인 적금 4% 50만

월컴 누구나 적금 4% 20만

아주 3355 적금 4% 50만


합계 220만


290만

-220만

----

70만


연말정산용으로 주택청약을 가입합니다


70만

-20만

----

50만



SC 은행에 이율을 2.6%로 만들기 위해서 106만원 계좌이체 합니다

이중 35만원은 이율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 보험료와 펀드 1개를 들어

35 만원이 들고 71만원은 도로 원 계좌로 이체 합니다

보험료 1개는 정기적으로 빠져나가지 않아서 뺏습니다.


50만

-35만

----

15만 (-5만)



10만원이 남았는데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 50만원씩 2개 증권사에 

입금하고 당일 도로 회수하여 실질적으로 빠져나가는건 없습니다.

신한증권으로 월 50만원씩 빠져나가는것은 현재 실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


핸드폰 요금과 인터넷 요금을

안양은행과 산업은행 체크카드로

빠져나가기 위해서 거쳐갑니다.

이렇게 하면 월 2000원씩 도로 돌아옵니다.


10만

-2.5만

+0.2만

---

7.7만



이제 한달에 7만7천원 정도로 생활하면 됩니다.

실 급여가 300만원이 안되므로 가끔가다 모자랄수도 있습니다.

산업은행 재형저축은 금액이 안되서 아직 실행하지 못하고 있고

대우증권의 5% CMA 는 조건실행의 귀차니즘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

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