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기도 공고 제2016-1036호
2016년 경기도‘일하는 청년통장Ⅱ’참가자 모집 공고 |
경기도는 청년의 꿈을 응원하는‘일하는 청년통장Ⅱ’참가자를 아래와 같이 모집 공고합니다.
2016년 9월 20일
경 기 도 지 사
Ⅰ | 일하는 청년통장 개요 |
❍ 경기도 거주 저소득 근로 청년이 매달 10만원을 저축하면 3년 후
경기도 예산과 민간기부금 등으로 약1,000만원이 적립되는 통장으로, 일하는 청년의 근로의지와 취업의지 고취, 자산형성을 지원합니다.
- 교육비, 주거비, 결혼자금, 창업, 대출금 상환 등 자립기반 조성 목적
Ⅱ | 신청 자격 |
❍ 다음 ①~② 자격요건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.
① 공고일 기준 경기도 거주 만18세 이상~만34세* 이하 일하는 청년
* 1981년 9월 21일 ~ 1998년 9월 20일 출생
② 소득인정액*이 중위소득 80%이하인 가구
* 소득 + 재산을 일정한 비율로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
③ 다음의 참가자는 근로소득 공제율(30~10%)이 적용됩니다.
- 3D업종, 제조‧생산직* 근로자 : 30%
* 주조, 금형, 주물, 용접, 표면처리, 열처리, 도금 등 공장등록증명서 업종 확인
* 제조·생산직 근로자 : 사업자등록증 업태(제조업)로 확인
- 사회적경제(자활기업, 협동조합, (예비)사회적기업, 마을기업) 영역 근로자 : 20%
- 주 40시간 이상 근로자 : 10%
<가구규모별 소득인정액 기준 및 근로소득공제율 적용 최대 소득인정액 산정표>
(단위 : 원)
가구규모 구분 | 공제율 | 1인가구 | 2인가구 | 3인가구 | 4인가구 | 5인가구 |
소득인정액 기준 (중위소득 80%) | - | 1,299,865 | 2,213,282 | 2,863,215 | 3,513,147 | 4,163,079 |
3D 업종제조‧생산직 | 30% | 1,856,950 | 3,161,832 | 4,090,307 | 5,018,782 | 5,947,256 |
사회적 경제 영역 (기준 중위소득) | 20% | 1,624,831 | 2,766,603 | 3,579,019 | 4,391,434 | 5,203,849 |
주 40시간 이상 (중위소득 90%) | 10% | 1,444,294 | 2,459,203 | 3,181,350 | 3,903,497 | 4,625,644 |
* 주민등록등본상 등재된 가구원으로 참가자의 배우자, 1촌 이내 직계존비속, 형제자매로 한정
④ 다음의 경우 가산점을 부여하며, 1개 항목(3점)만 인정합니다
구분 | 가산점 | 제출서류 |
3D업종 제조‧생산직 근로자 | 3 | 사업자등록증 사본 |
사회적 경제 영역 근로자 | 3 | 인증(확인)서 사본 |
개인회생 및 신용회복지원 12개월 이상 변제자 | 3 | 신용회복지원서 확인서 변제수행납입 증명원 |
⑤ 다음의 경우에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.
- 자영업자(단, 자활기업 참가자 등 사회적 경제영역 사업자등록증 소지자 신청 가능)
- 보건복지부 추진 자산형성지원사업(희망키움통장Ⅰ·Ⅱ, 내일키움통장) 참여가구 및 혜택 수혜가구(단,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아동교육이 목적인‘디딤씨앗통장’참여가구는 중복가입 가능)
- 불법 향락업체·도박·사행업 종사자
Ⅲ | 신청 방법 |
수원시100 | 고양시60 | 성남시80 | 용인시60 | 부천시60 | 안산시60 | 남양주시40 |
안양시40 | 화성시40 | 평택시40 | 의정부시35 | 시흥시35 | 광명시35 | 파주시35 |
김포시20 | 광주시20 | 군포시20 | 안성시20 | 오산시20 | 이천시20 | 양주시20 |
구리시20 | 포천시20 | 의왕시20 | 하남시20 | 여주시10 | 동두천시10 | 양평군10 |
과천시10 | 가평군10 | 연천군10 |
|
|
|
|
❍ 모집인원 : 총 1000명(가구)
※ 시·군별 모집인원(가구)은 접수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
❍ 신청기간 : 2016. 10. 4(화) ~ 10.14(금) (토, 일요일 제외)
❍ 신청장소
- 거주지 읍·면·동 주민센터, 방문접수 원칙(우편접수 불가)
- 경기도일자리재단(www.gjf.or.kr) 홈페이지에서 신청가능여부 조회 가능하며 인터넷 접수는 시범운영 중이므로 실제 접속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음.
❍ 제출서류 : ①~⑥ 별지서식 활용 필수 작성
[기본 제출 서류]
①『일하는 청년통장Ⅱ』참가 신청서[별지 제1호 서식]
② 참가자 및 가구원 소득‧재산신고서[별지 제2호 서식]
③ 사회보장급여 제공(변경) 신청서[별지 제3호 서식]
④ 개인정보제공동의서[별지 제4호 서식]
⑤ 재직증명서 등 재직 확인서류
- 발급 불가 시, [고용‧임금 확인서 별지 제5호 서식]로 대체 가능
⑥ 거주지 임대차 계약서 또는 사용대차확인서[별지 제6호 서식]
⑦ 주민등록등본
⑧ 주민등록초본(과거 주소 변동내역 포함)
⑨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Ⅱ 위임장
- 대리인 접수 시 : 대리인 신분증[가족관계증명서, 위임장 별지 제7호 서식]
[추가 확인 및 제출 서류]
: 읍·면·동 주민센터 확인 후‘[제1호] 일하는 청년통장 가입신청서’에 기입
⑩ 가구특성 확인서류
- 장애인, 한부모(청년이 한부모인 경우), 다문화, 북한이탈주민은 관련 증빙서류 확인
- 3자녀 이상 양육가정(청년당사자의 자녀가 3명 이상), 65세 이상 고령자 부양가정의 경우, 주민등록등본으로 확인
⑪ 기타 근로소득 공제율(30~10%) 및 가산점 적용대상자는 해당 근무를 증명할 서류 추가 제출
- 소득인정액 공제(30~10%) 적용
‧ 3D업종, 제조‧생산직 근로자(30%) : 공장등록증명서의 업종 확인
사업자등록증 업태(제조업)확인
‧ 사회적경제 영역 근로자(20%) : 사회적경제 인증(정)서 등
‧ 주 40시간 이상 근로(10%) : 근로계약서, 재직확인서 제출의 경우 40시간이상 근로 인정. 단시간 근로 확인서류 [제5호]고용․임금확인서
- 가산점(3점) 적용
‧ 3D업종, 제조‧생산직 근로자 : 공장등록증명서의 업종(업태) 확인
‧ 사회적경제 영역 근로자 : 사회적경제 인증(정)서 등
‧ 개인회생 및 신용회복지원 12개월 이상 변제자
ⓐ 개인회생 : 12개월 이상 채무변제확인서‘변제수행납입 증명원’ (법원발급)
ⓑ 개인워크아웃 : 12개월 이상 채무변제확인서‘(신용회복위원회 발급)
※ 경기도청(www.gg.go.kr), 경기복지재단(www.ggwf.or.kr), 일자리재단(www.gjf.or.kr) 홈페이지에서 서식 다운로드 가능
Ⅳ | 최종 대상자 선정발표 |
❍ 최종 대상자 선정 발표 : 2016. 11. 28(월)
- 서류 심사를 거쳐 고득점 순으로 선발하며, 최종 대상자가 1개월 이내 포기할 경우 차순위자 선정, 선정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.
- 경기도청, 경기복지재단 홈페이지 및 경기콜센터(031-120) 및 개별통지
Ⅴ | 기타 유의사항 |
❍ 신청서류 등의 기재 내용이 사실과 다르거나 허위사실이 발견될 경우, 즉시 최종 선정을 취소할 수 있으며, 약정을 중도 해지 할 수 있습니다.
❍ 대상자가 제출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습니다.
❍ 기타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연락처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- 거주지 시·군, 읍·면·동 주민센터
- 경기도 콜센터 : 031-120
- 경기복지재단 : 카카오톡 @일하는청년통장
- 시·군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담당부서
시군명 | 부 서 명 | 전 화 번 호 | 오산시 | 희망복지과 | 031-8036-7417 |
수원시 | 사회복지과 | 031-228-3265 | 하남시 | 주민생활지원과 | 031-790-5600 |
성남시 | 사회복지과 | 031-729-8935 | 의왕시 | 희망복지지원과 | 031-345-2442 |
부천시 | 복지정책과 | 032-625-2849 | 여주시 | 복지정책과 | 031-887-2278 |
용인시 | 복지정책과 | 031-324-3131 | 양평군 | 행복돌봄과 | 031-770-2214 |
안산시 | 복지정책과 | 031-481-2377 | 과천시 | 주민생활지원실 | 02-3677-2858 |
안양시 | 복지정책과 | 031-8045-5575 | 고양시 | 복지정책과 | 031-8075-3251 |
평택시 | 복지정책과 | 031-8024-3081 | 남양주시 | 희망복지과 | 031-590-2216 |
시흥시 | 사회복지과 | 031-310-2622 | 의정부시 | 사회복지과 | 031-828-2215 |
화성시 | 복지정책과 | 031-369-3859 | 파주시 | 복지정책과 | 031-940-5013 |
광명시 | 사회복지과 | 02-2680-0718 | 구리시 | 무한돌봄과 | 031-550-8336 |
군포시 | 사회복지과 | 031-390-0657 | 양주시 | 복지지원과 | 031-8082-5764 |
광주시 | 복지정책과 | 031-760-3770 | 포천시 | 시민복지과 | 031-538-3056 |
김포시 | 복지정책과 | 031-980-2623 | 동두천시 | 주민생활지원과 | 031-860-2357 |
이천시 | 사회복지과 | 031-645-3573 | 가평군 | 희망복지실 | 031-580-2237 |
안성시 | 사회복지과 | 031-678-2252 | 연천군 | 복지지원과 | 031-839-2235 |
'2. 금융 > 금융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끔 보는 부동산 경매물건 (1) | 2016.10.16 |
---|---|
울트라 HD TV 는.. 울트라 HD 방송이 안나온다? (0) | 2016.10.02 |
SBI 저축은행 온라인 예금 금리 (0) | 2016.09.12 |
북앤라이프 > 오케이 캐시백 전환시 5% 차감 (0) | 2016.08.28 |
직장 여성 임대 아파트 (0) | 2016.08.22 |